아이폰 교통카드 드디어! 2025년 최신 티머니 등록 및 사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정말 오랫동안, 수많은 아이폰 유저들이 애타게 기다려온 바로 그 소식! 드디어 한국에서도 아이폰 교통카드 기능이 공식적으로 지원됩니다. 이제 더 이상 실물 카드를 찾아 지갑을 뒤적이거나, 삼성페이를 부러워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 아이폰에 직접 티머니 교통카드를 등록하고 사용해 본 생생한 후기와 함께, 여러분이 따라 하실 수 있도록 A to Z 모든 과정을 사진과 함께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 핵심 요약 먼저 보기
- 현재는 ‘티머니(T-money)’만 선불 충전 방식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기존에 사용하던 후불교통카드, K-패스 연동은 아직 지원되지 않아요.
- 충전은 애플페이에 등록된 카드로만 가능하며, 현재 기준 현대카드만 해당됩니다.
- ‘익스프레스 모드’를 지원하여, 페이스 ID나 암호 없이 그냥 태그만 하면 결제 완료! 정말 편해요.
목차
1. 아이폰 교통카드(티머니) 등록 방법 완벽 가이드 (5단계)
자, 그럼 이제부터 차근차근 아이폰 교통카드 등록을 시작해 볼까요? 정말 간단해서 5분도 채 걸리지 않으니 겁먹지 말고 따라오세요!
1단계: ‘지갑 및 Apple Pay’ 메뉴 들어가기
먼저 아이폰의 ‘설정’ 앱을 열고, 아래로 조금만 스크롤 해서 ‘지갑 및 Apple Pay’ 메뉴를 터치해 주세요.
[아이폰 설정 > 지갑 및 Apple Pay]
2단계: ‘카드 추가’ 버튼 누르기
지갑 앱 설정 화면으로 들어오면 우측 상단에 있는 ‘카드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애플페이 신용카드를 등록할 때와 동일한 경로예요.
[카드 추가 버튼 터치]
3단계: ‘교통카드’ 항목 선택하기
카드를 추가하는 방식에 여러 옵션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우리는 ‘이전 카드’나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가 아닌, 새롭게 생긴 ‘교통카드’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새로운 ‘교통카드’ 항목 선택]
4단계: 반가운 ‘티머니’ 선택하기!
교통카드 항목으로 들어가면… 두둥! 드디어 그토록 기다리던 ‘한국’ 섹션과 함께 ‘티머니’가 보입니다! 정말 감격스러운 순간이 아닐 수 없네요. 망설이지 말고 티머니를 터치해 주세요.
[드디어 등장한 티머니!]
5단계: 충전 금액 설정 및 결제하기
이제 티머니 카드를 새로 발급받고 충전할 차례입니다. 원하는 충전 금액을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어요. 최초 충전 금액은 3,000원부터 가능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현재는 선불 충전 방식만 지원해요. 금액을 정하고 ‘추가’ 버튼을 누르면, 기존에 애플페이에 등록된 카드로 충전 금액이 결제됩니다. (현재는 현대카드만 가능하겠죠?)
[충전 금액 설정 (후불/K패스 등록은 불가)]
[애플페이(현대카드)로 충전 결제 진행]
결제까지 마치면, 드디어 여러분의 아이폰 지갑 앱에 티머니 교통카드가 쏙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말 쉽죠?
2. 더 편리하게! 자동 충전 및 티머니 앱 연동하기
매번 잔액을 확인하고 충전하는 게 번거롭게 느껴진다면, 자동 충전 기능을 설정해 보세요. 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로 떨어지면 설정해 둔 금액만큼 자동으로 충전되는 아주 편리한 기능입니다.
[자동 충전 설정으로 잔액 걱정 끝!]
또한, 더 상세한 이용 내역 관리나 T마일리지 적립 등을 원한다면 ‘모바일티머니’ 앱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별도의 복잡한 등록 절차 없이 지갑 앱에 있는 아이폰 교통카드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연동해 줍니다. 정말 스마트하죠?
[티머니 앱을 통한 간편한 관리]
[이제 아이폰 유저들의 필수 앱이 될 것 같네요!]
3. 실제 사용법은? (feat. 익스프레스 모드)
아이폰 교통카드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익스프레스 모드(Express Mode)’입니다. 이 기능 덕분에 버스나 지하철 단말기에 태그할 때, 페이스 ID 인증이나 암호 입력, 측면 버튼 두 번 클릭 등의 과정이 전혀 필요 없습니다. 그냥 화면이 꺼진 상태의 아이폰을 단말기에 가져다 대기만 하면 ‘삑!’ 소리와 함께 바로 결제가 완료됩니다. 정말 신세계예요!
- 사용법: 아이폰 상단 부분을 교통카드 단말기에 가볍게 태그하세요.
- 배터리 없을 때: 아이폰 배터리가 방전되어 꺼지더라도 최대 5시간까지는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니, 비상 상황에도 걱정 없어요.
자세한 내용은 Apple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종 정리 및 후기
지금까지 아이폰 교통카드, 티머니 등록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직접 설정하고 사용해보니 ‘왜 이제야 됐을까’ 싶을 정도로 정말 편리하고 만족스러웠습니다. 비록 지금은 선불 충전 방식의 티머니만 가능하고, 충전도 현대카드로 한정된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이것은 분명 위대한 첫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신한, 국민, 삼성 등 다른 카드사들도 빠르게 애플페이를 도입하고, K-패스와 연동되는 후불 교통카드 기능까지 추가되기를 간절히 바라봅니다. 아이폰 유저 여러분, 이제 우리도 당당하게 스마트폰만 들고 대중교통을 이용해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애플페이 사용 가능 매장 총정리 2025년 최신판)